학습목표 |
플랜트 스마트공장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효율적이고 저탄소 운전과 유지보수를 하는 기본업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교육대상 |
공무(정비)부서, 혁신부서, 정보/IT부서, 기술관리부서, 생산부서, 환경안전부서, 전략부서 관리자 및 담당자, SI 및 컨설팅펌 담당자 |
강 사 |
정일영 소장 [現 스마트팩토리연구소] |
정 원 |
15명 |
시 간 |
1일(총 8시간) |
교 육 비 |
전액 정부 지원(교육비 및 교재 등) 대규모기업의 경우 교육비의 20%(22,000원) 자부담 |
과목명 |
상세 교육내용 |
스마트공장 정의 및 구조 이해 |
◦ 스마트공장 이해하기 - 기존 산업혁명 이해하기 - 스마트공장 이해하기 - 스마트공장 구조 파악하기 등
◦ 스마트공장 이해하기 -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파악하기 - 스마트공장과 디지털 전환(DX) 이해하기
◦ 스마트팩토리 핵심 기술 파악하기 - IoT/사물인터넷 이해하기 - 인공지능 이해하기 - 클라우드 이해하기 등 |
스마트공장 시스템 종류 및 구축 전략 |
◦ 오피스시스템 이해하기 - 오피스시스템 파악하기, 오피스시스템 발전이력 이해하기 등
◦ 플랜트시스템 이해하기 - 플랜트시스템 파악하기, 플랜트시스템 발전이력 이해하기 등
◦ 플랜트 스마트공장 구축 전략 이해하기 - 환경변화와 수준 분석 이해하기 - 전략수립 방법론 이해하기 - 스마트공장 시스템 구축 사례를 통한 방법 이해하기 |
스마트공장 시스템 가치 창출 전략 |
◦ 시스템의 타당성 검사 - 스마트공장 내 시스템의 절차 파악하기 - 스마트공장 문제 도출하기 - 시스템 목적 파악하기
◦ 플랜트 업무 프로세스 진단 - 플랜트 벨류체인 파악하기 - 생산 공정관리와 설비관리 진단 파악하기
◦ 가치 창출하기 - 벨류체인 별 시스템으로 가치 창출 방법 파악하기 |
1. 교육신청자가 교육정원의 70%미만일 경우 해당날짜에 과정 개설이 불가합니다. 개설 불가할 경우 미리 안내드립니다.
예) 교육정원이 20명인 과정에 교육신청자가 10명인 경우 해당날짜에 개설 불가
2. 컨소시엄사업의 제도변경에 따라 대규모기업의 경우 교육비의 20% 자부담금이 발생 됩니다.
자부담금은 상단의 교육비용 또는 교육안내문의 시간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교육은 평일 주간교육(8시30분~17시30분)으로 진행됩니다. 단, 과정별 배정시간에 따라, 종료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교육용 교재는, 교육 시작 당일 오전에 개인당 1권씩 지급됩니다. 본인이 신청한 교육과정 외, 타 과정교재는 드리지 않으며,
국비로 진행되는 교육인 만큼 별도 판매가 불가하오니, 이점 양해부탁 드립니다.
5. 중식비는 1일 5,000원씩 지급될 예정이며, 교육종료 후 익월 중순경 개인계좌로 입금됩니다.
6. 주차권은 별도로 배부되지 않습니다.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당부 드립니다.
7. 별도의 기숙사나 숙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당 부분은 개별 이용 부탁드립니다.
본 과정에 대한 자사 직원대상 맞춤교육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위탁교육 운영이 가능합니다.
(문의처 : ☎ 02-6925-3458, 02-3452-7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