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
글로벌 바이오경제 구도에서의 탈탄소 기반의 새로운 개념과 목표부터 바이오정제 인프라에 기초한 바이오화학소재의 사업화까지 국내외 기술 개발과 사업화 동향 이해를 전제로 바이오플라스틱의 기술성, 생산성, 사업성을 반영한 바이오플라스틱 경제의 인프라 구축과 산업전환을 대비한 전반적인 플랜트 엔지니이링 지식 이해도의 확충을 지향한다. |
교육대상 |
플랜트 분야 영업, 사업개발, 설계 실무자 및 관리자 |
강 사 |
김상용 부회장 [ 現 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 |
정 원 |
15명 |
시 간 |
- 총 6시간(1일) - 08:30~15:30 / 점심시간 11:30~12:30 |
교 육 비 |
전액 정부 지원(교육비 및 교재 등) |
과목명 |
상세 교육내용 |
바이오플라스틱 기본 특성 및 산업동향 |
가. 바이오 플라스틱 기초특성 ∙ 바이오 화학소재의 차별성 ∙ 바이오플라스틱 합성 과정과 기능적 특성
나.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 개요 ∙ 원료, 소재, 부품, 제품 별 수요 시장 ∙ 전통산업과의 차별 및 연계성
다. 국내외 기술개발사업화 및 인증 관련 정책 ∙ 기술개발 및 사업화 방향 및 지원정책 ∙ 친환경성 및 기능성 인증제도
|
바이오플라스틱산업 공급망 및 사업화 |
가. 국내외 바이오 화학소재 수요 전망 ∙ 바이오화학소재의 이해 ∙ 바이오플라스틱 기능과 수요 ∙ 관련 산업과 연계한 시장 전망
나. 바이오플라스틱 가치사슬 및 공급망 ∙ 천연원료 가공 플랫폼의 구조적 특성 ∙ 전환기술 별 가치사슬 구성 특성 ∙ 제품 전주기 공급망 구성
다. 바이오플라스틱 사업화 ∙ 공급망 단계별 사업 기회 ∙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및 제품 연계 전략 ∙ 상업적 플랜트 엔지니어링 인프라 이해 |
1. 교육신청자가 교육정원의 70%미만일 경우 해당날짜에 과정 개설이 불가합니다. 개설 불가할 경우 미리 안내드립니다.
예) 교육정원이 20명인 과정에 교육신청자가 10명인 경우 해당날짜에 개설 불가
2. 교육용 교재는 교육 시작 당일 오전에 개인당 1권씩 배부됩니다.
본인이 신청한 교육과정 외 타 과정교재는 제공하지 않으며, 국비로 진행되는 교육인 만큼 별도 판매가 불가하오니, 이점 양해부탁 드립니다.
3. 중식비는 1일 5,000원씩 지급될 예정이며, 교육종료 후 익월 중순경 개인계좌로 입금됩니다.
4. 주차권은 별도로 배부되지 않습니다.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당부 드립니다.
5. 별도의 기숙사나 숙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당 부분은 개별 이용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