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
용접 기술 및 CODE 이해를 통해 용접결함 원인과 대책을 분석하고, WPS & PQR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ASME 및 AWS CODE 기준에 맞춘 WPS & PQR 작성 능력을 배양하며, 국내외 거래선의 요구와 기업별 인증 기준 이해를 통해 WPS & PQR 구축기반을 확립할 수 있다. |
교육대상 |
플랜트 용접 업무 담당자 |
강 사 |
김재희 교수 [ 現 한국공학대학교 ] |
정 원 |
15명 |
시 간 |
1일(총 7시간) |
교 육 비 |
전액 정부 지원(교육비 및 교재 등) *대규모기업의 경우 교육비의 20%(24,000원) 자부담 |
과목명 |
상세 교육내용 |
용접 불량 감소를 위한 WPS 및 PQR 작성 |
가. 용접개론 및 CODE ∙용접의 이해 ∙ASME CODE ∙AWS D1.1 & 1.6 ∙용접작업_산업위생핸드북 나. 용접결함 원인과 대책 ∙용접결함 원인과 대책 ∙용접 변형의 종류 및 방지대책 ∙용접설계 기술지침 ∙용접 불량에 대한 대책 연구 사례 ∙용접구조물 검사 절차서 다. WPS & PQR ∙용접절차시방서(WPS)와 절차 검증기록서(PQR) 이해와 작성 기준 ∙용접작업 계획수립 ∙용접절차 사양서(WPS)인증 흐름도 ∙용접절차서 사례 라. CODE에 의해 작성되는 WPS와 PQR의 작성법 ∙ASME CODE에 의해 작성되는 WPS와 PQR의 작성법 ∙WPS에 기록해야 하는 항목과 작성 방법 ∙PQR 시편제작 방법 마. CODE에 의해 작성되는 WPS와 PQR의 작성사례 ∙H사 WPS & PQR 인증 사례 ∙D사 WPS & PQR 수립체계 및 성과품 사례 ∙WPS & PQR 수립을 위한 일정 계획 사례 바. WPS & PQR 인증을 위한 구비 요건 (제반 규정과 표준) ∙Pillar1 Technical Assessment Form ∙검사측정 및 시험장비관리 절차서 ∙용접외관검사 기준서 ∙D사-Welding Assessment ∙Welding Assessment ∙D사-용접 품질혁신활동 마스터 플랜 |
1. 교육신청자가 교육정원의 70%미만일 경우 해당날짜에 과정 개설이 불가합니다. 개설 불가할 경우 미리 안내드립니다.
예) 교육정원이 20명인 과정에 교육신청자가 10명인 경우 해당날짜에 개설 불가
2. 컨소시엄사업의 제도변경에 따라 대규모기업의 경우 교육비의 20% 자부담금이 발생 됩니다.
자부담금은 상단의 교육비용 또는 교육안내문의 시간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교육은 평일 주간교육(8시30분~17시30분)으로 진행됩니다. 단, 과정별 배정시간에 따라, 종료시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교육용 교재는, 교육 시작 당일 오전에 개인당 1권씩 지급됩니다. 본인이 신청한 교육과정 외, 타 과정교재는 드리지 않으며,
국비로 진행되는 교육인 만큼 별도 판매가 불가하오니, 이점 양해부탁 드립니다.
5. 중식비는 1일 5,000원씩 지급될 예정이며, 교육종료 후 익월 중순경 개인계좌로 입금됩니다.
6. 주차권은 별도로 배부되지 않습니다.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당부 드립니다.
7. 별도의 기숙사나 숙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당 부분은 개별 이용 부탁드립니다.
본 과정에 대한 자사 직원대상 맞춤교육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위탁교육 운영이 가능합니다.
(문의처 : ☎ 02-6925-3458, 02-3452-7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