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
에너지 전환내용, 방법, 전략소개 및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특징, 전망, 적용 방안 등 향후 석탄화력발전 에너지 사업축소 및 저탄소 에너지 산업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교육대상 |
에너지전환에 따라 사업축소, 전환이 예상되는 플랜트 분야 관련 종사자 |
강 사 |
심현오 전무 [ 現) 하이폴, 前) 한국전력기술 ] |
정 원 |
20명 |
시 간 |
1일(09:00~18:00 / 총 8시간) |
교 육 비 |
전액 정부 지원(교육비 및 교재 등) |
과목명 |
상세 교육내용 |
기후변화, NDC 및 탄소중립추진전략과 RE100 |
ㅇ 탄소중립 정의 및 배경 - 지구온실가스 종류, 발생원인 및 대응 - 지구온난화 영향 - 탄소중립배경 및 제도적 기반강화 - 탄소중립 정부정책 추진방향, 도전 및 전략 소개 - 에너지전환부문 NDC[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방안 ㅇ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 개념 및 내용 -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 청정개발체제[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ㅇ 에너지 전환 시나리오별 에너지 믹스변화 - 에너지원별 단계적 믹스변화 - 에너지 전환에 따른 과도기적 대처 ㅇ 재생에너지 기본 - 신 재생에너지 종류별 특징과 에너지 시스템 구축 |
에너지전환, 통합 및 탄소중립 산업별적용, 무탄소 신산업창출 및 재생에너지 시스템 |
ㅇ 저탄소 신산업현황 및 전망 - 기존 에너지전환 대상 산업의 대처방안 - 저 탄소 신산업 소개 및 재생에너지 적용방안 - 기업의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무역장벽]대처 ㅇ RE100 글로벌 기업들의 신재생에너지 사용에 관한 자발적 캠페인 - RE100 캠페인 개요, 민간사업동향 - RE100 공동대응현황 및 추진 프로세스 - 신 재생에너지 시스템 특징 -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잠재력, 보급정책, 적용사례 및 기술개발 - 수소에너지 시스템[제조, 분리,저장,응용기술] 및 수소발전 - 재생에너지별 플래그십 프로그램 및 R&D 추진방향 -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적용방안 및 문제점 - 에너지 전환대상 기업의 재생에너지 선정과 투자 최적방안 ㅇ 에너지 전환 4차 산업 신기술 적용을 통한 산업기반 경쟁력확보 - 신 재생에너지 적용 4차 산업 기술 적용 - 에너지 전환 4차 산업기술 적용 및 단가저감을 통한 경쟁력 확보 - 저탄소 신산업기반 강화 추진전략 |
1. 교육신청자가 교육정원의 70%미만일 경우 해당날짜에 과정 개설이 불가합니다. 개설 불가할 경우 미리 안내드립니다.
예) 교육정원이 20명인 과정에 교육신청자가 10명인 경우 해당날짜에 개설 불가
2. 교육용 교재는 교육 시작 당일 오전에 개인당 1권씩 배부됩니다.
본인이 신청한 교육과정 외 타 과정교재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또한, 국비로 진행되는 교육인 만큼 별도 판매가 불가하오니, 이점 양해부탁 드립니다.
3. 중식비는 1일 5,000원씩 지급될 예정이며, 교육종료 후 익월 중순경 개인계좌로 입금됩니다. 단, 온라인(원격) 수강시 중식대는 별도로 지급되지 않습니다.
4. 주차권은 별도로 배부되지 않습니다.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당부 드립니다.
5. 별도의 기숙사나 숙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해당 부분은 개별 이용 부탁드립니다.